top of page
선교-포덕교화-블로그1.jpg
선교홈-선교종사-연도이미지2025_edited.jpg

[절기학교] 24절기 곡우 穀雨

  • 작성자 사진: 선교신앙
    선교신앙
  • 2024년 4월 19일
  • 3분 분량

선교仙敎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문화학교 / 24절기 선도수행


곡우, 선교, 절기법회, 절기학교, 24절기, 선도수행
곡우, 선교, 선림원, 절기학교


24절기 中 여섯번째 절기 · 황경 30°


“곡우(穀雨)” 


봄비 속에 찻잎은 푸르고 백곡이 성장하는 농경기



선림원 절기학교에서 24절기 중 여섯번째 절기 “곡우” 절기에 대해 공부합니다. 仙林 _

곡우(穀雨)는 곡식(穀) 농사에 필요한 비(雨)가 내리고 모든 농작물이 윤택해지는 시기입니다. 곡우는 4월 19일 또는 4월 20일경에 듭니다. 곡우는 농사에 필요한 비가 내린다는 절기로 논농사를 위해 볍씨를 담그로 못자리를 만드 는 등,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됩니다.  


곡우(穀雨) 절기에 한민족 고유종교 선교(仙敎)에서는 한민족의 시조이신 환인상제(桓因上帝)님께 제천(祭天)하며 헌다(獻茶)하는 고유한 선교의례(仙敎儀禮)가 있습니다. 그해 첫 찻잎을 따서 차(茶)를 만들어 하늘에 “제천(祭天)”하고, 선교(仙敎)를 창교한 취정원사님께 “헌다(獻茶)” 하며, 선교총림 선림원 시정원주님의 “차명상(茶溟想) 법회”를 진행합니다. 선교 수행대중은 곡우절(穀雨節)에 올리는 헌다의식(獻茶儀式)을 통해 선교의 기본 사상인 선농무일여사상(禪農武一如思想) 농선(農禪)을 실천합니다.










곡우 유래

곡우(穀雨)는 24절기 중 여섯번째 절기(節氣).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들며, 음력 3월, 양력 4월 20일경, 태양의 황경이 30°에 있을 때 이다. 곡식(穀食)농사에 꼭 필요한 비(雨)가 내리는 기간이라 하여 곡우(穀雨)라고 한다. 곡우 때쯤이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百穀)이 윤택해지며 잘 자라므로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만약 곡우 절기에 우순풍조하면 풍년이 들고 비가 내리지 않으면 그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한다.



곡우 기후와 풍습 


/ 못자리만들기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으로 시작해서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된다.


/ 곡우속담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에는 #곡우에모든곡물들이잠을깬다 #곡우에가물면땅이석자가마른다 #곡우가넘어야조기가운다 같은 농사와 생산에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해진다.


/ 우전차, 곡우차  

곡우에 차(茶)를 마시면 눈이 밝아지고 열을 내리고 악귀를 물리친다고 하여 곡우절기에 차를 마시는 풍습이 있다. 곡우 무렵에 그해 첫 차를 따는데 곡우 전에 딴 차를 우전(雨前)이라고 한다.  


/ 볍씨담그기 

“볍씨 담그기” 곡우(穀雨)에는 본격적인 논농사 준비를 위해 볍씨를 담그고 못자리를 만든다. 부정한 사람이 볍씨나 못자리를 보면 볍씨가 싹이 트지 않아 농사를 망친다는 속설이 있기에 농가에서는 솔가지나 가마니로 덮어두기도 하며,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대문 앞에서 불을 피운 후 불을 뛰어넘어 부정과 악귀를 쫓아내고 집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풍습이 있다. 볍씨를 덮어 두었던 솔가지를 물에 담갔다가 물을 뿌려주기도 하는데 이는 물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혹시 모를 부정을 씻어내는 역학을 하기도 한다. 경기도 평창지역에서는 곡우날 사시(巳時)에 볍씨를 담그면 볍씨가 떠내려간다고 하여 사시(巳時)를 피하여 볍씨를 담그고 볍씨를 담근 항아리에 금줄을 치고 고사를 지낸다.


/ 곡우낙종 

충남 지역에서는 곡우에 볍씨를 논에 직접 뿌리기도 하는데 이를 못자리를 만들지 않고 볍씨를 논에 직파하는 것을 ‘곡우낙종’이라고 한다.


/ 곡우수·곡우물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여서 전라남도 · 경상남북도 · 강원도 등지에서는 명산대천으로 곡우물(穀雨水)을 먹으러 나들이를 간다. 곡우물은  고로쇠 · 산다래 · 자작나무 · 박달나무 등의 수액(樹液)을 말하는데 옛부터 약수(藥水)로 먹는 풍습이 있다. 곡우물을 먹기 위해서는 곡우 전에 미리 상처 낸 나무에 통을 달아두고 여러 날 동안 수액(樹液)을 받아서 마시게 된다. 곡우수를 마시는 지방의 풍습을 보면, 강진 해남 등지에서는 곡우물을 먹으러 대흥사로 가고, 고흥 등지에서는 금산으로, 성주 등지에서는 가야산으로 가서 산다래 박달나무 수액을 마신다. 거자수(자작나무 수액)는 특히 지리산 아래 구례 등지에서 많이 나는데, 지리산에서는 곡우 때 ‘약수제(藥水祭)’를 지낸다.



곡우 절기 음식


/ 거자수  

곡우 무렵에 나오는 ‘고로쇠물’은 여자물이라 하여 남자에게 효과가 더 좋고, ‘거자수’는 남자물이라 하여 여자에게 더 좋은 효과가 있다는 속설이 있다. 


/ 곡우살이  

봄조기가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내고 북상하는데 그때 잡는 조기를 특히 ‘곡우살이’라 하여 곡우의 절기식(節氣食)으로 먹는다. 곡우살이는 살은 아주 적지만 연하고 맛이 있어서 서해는 물론 남해의 어선들도 모여들어 성황을 이룬다.




곡우, 선교, 선도수행, 절기법회, 곡우다례

곡우, 선교, 선림원, 절기학교
곡우, 선교, 선림원, 절기학교


취정원사님, 24절기 선도수행 교화법문

「24절기 생활속의 선도수행 _ 곡우」



곡우(穀雨 )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의 “24절기 생활속의 선도수행” 교화법문을 다음과 같이 실어 봄철 선교수행에 대해 공부합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春三月此謂發陳天地俱生萬物以榮夜臥早起廣步於庭被髮緩形以使志生生而勿殺予而勿奪賞而勿罰此春氣之應養生之道也逆之則傷肝夏爲寒變奉長者少이라.

봄철 3달은 발진(發陳) 이라고 한다. 천지 간에 생기가 다 발동하여 만물이 소생하고 번영한다. 이때는 밤에 일찍 자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뜰을 거닐며 머리를 풀고 몸을 편안하게 늦추어 주며 마음을 유쾌하게 하며 생겨나는 만물에대해서는 그 생장을 도와주고 죽이지는 말며 주기는 하면서 빼앗지는 말며 상은 주되 벌은 주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봄철에 맞게 양생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거역하면 간(肝)을 상하고 여름에 가서 철이 아닌 추위가 와서 자라게 하는힘[奉長]이 적어진다 ..하였다.

24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올바른 섭생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봄은 오행(五行) 중 목(木)에 해당하는데, 목(木)은 성장하는 기운이 강하다. 목(木)은 오장 중 간(肝)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신맛이므로, 봄철 겨울 내내 얼어붙었던 땅을 뚫고 솟아나는 봄나물을 먹는 것은 목기(木氣)를 보충하여 원기를 회복하는 의미를 갖는다. 봄철의 산야초는 자연의 에너지가 충만한 보약이라 하겠다. 

24절기에 따라 올바르게 양생하는 올바른 섭생법은 태양의 운행과 같은 주기로 생활하는 것이다. 봄은 오행(五行) 중 목(木)에 해당하는데, 목(木)은 성장하는 기운이 강하다. 목(木)은 오장 중 간(肝)을 관장하고, 맛으로는 신맛이므로, 봄철 겨울 내내 얼어붙었던 땅을 뚫고 솟아나는 봄나물을 먹는 것은 목기(木氣)를 보충하여 원기를 회복하는 의미를 갖는다. 봄철의 산야초는 자연의 에너지가 충만한 보약이라 하겠다.  춘분 절기의 올바른 섭생법은 새봄 천지간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 만물이 소생하고 꽃을 피우는 것처럼, 이른 아침에 일어나 마음을 가벼이 즐겁게 하여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고 봄볕을 쐬며, 새 기운이 솟아나도록 심신을 정화시킨다. 봄은 목(木)의 기운이요, 목는 성장의 기운이라. 마치 어린아이가 성장하는 것과 같고 새순이 돋아 따스한 햇살아래 푸르게 성장하는 것과 같고, 나무가 하늘을 향해 자라나는 것과 같다. 자연의 섭리가 이러할진대, 사람 또한 자연의 섭리대로 사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절기수행이다. 춘분 절기에는 경칩에 이어 곤궁한 이들을 아낌없이 돌보고 베풀며, 사람을 비롯하여 산천초목에 상생의 덕을 베풀어야 한다. 생무생일체의 신성(神性)이 깨어나 그 빛으로 상생할 수 있도록 산천(山川)의 정기를 수호함에 힘쓰고, 밭을 갈고 씨뿌릴 준비를 하며 나무를 심고 물과 거름을 주는 농사와 천지간 상생조화의 이치를 심구하며 선도를 닦는 일은 천지인합일 수행에 정진하는 선가(仙家)의 생활강령이 된다.」 _ 선교 교단 취정원사 「24절기 선도수행」 절기법회 교화법문 中.



24절기 곡우 / 선교 절기교화

※ 선림원 절기학교 공식홈페이지 / 24절기 선도수행

※ 선림원 절기학교 공식블로그 / 선인교당 절기교육 프로그램 [청명(淸明)]


※본 콘텐츠는 재단법인 선교 저작권과 관련합니다. 무단전재 복사편집을 금합니다.

[작성 : 선교총림선림원 절기선원]     









 

※제 목 : [절기학교] 24절기 곡우 穀雨

※출처 : 정기간행물 [仙敎] 2007~ . 국립중앙도서관 연속간행물실. 선교환인집부회 발행.

※출처 : 선교총림선림원 선교문화원 영상기록물보존실



category
contents
tag
history
sns
  • 유튜브
  • Instagram
  • Twitter
  • Facebook

​환기  9222년 . 선기 59년 . 선교창교  35년 .  2025'

%EC%98%B4%EC%84%A0%EA%B5%90(6)_edited.jp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