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절기학교] 24절기 춘분 春分](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b4ec7895fcb74f868814d1a58a3646ff~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b4ec7895fcb74f868814d1a58a3646ff~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춘분 春分](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b4ec7895fcb74f868814d1a58a3646ff~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b4ec7895fcb74f868814d1a58a3646ff~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춘분 春分
춘분(春分)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절기로 꽃샘추위가 끝나가고 매화꽃이 만발하는 시기.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들며, 음력 2월 양력으로 3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0° 해의 중심이 춘분점(春分點) 위에 왔을 때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선교신앙
3월 18일
![[절기학교] 24절기 우수 雨水](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b10fcc1b33154524a2c6dac2a15b83e8~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b10fcc1b33154524a2c6dac2a15b83e8~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우수 雨水](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b10fcc1b33154524a2c6dac2a15b83e8~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b10fcc1b33154524a2c6dac2a15b83e8~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우수 雨水
우수(雨水)는 눈이 녹아 비가 된다는 시기. 입춘과 경칩 사이에 들며, 음력 1월 양력으로 2월 20일경, 태양이 황경 330°의 위치. 2월 말에서 3월 초 꽃샘추위에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날씨가 많이 풀리고 초목에 싹이 튼디.

선교신앙
2월 18일
![[절기학교] 24절기 입춘 立春](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981261b8e30b4e3cbc3a0c4af85b3319~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981261b8e30b4e3cbc3a0c4af85b3319~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입춘 立春](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981261b8e30b4e3cbc3a0c4af85b3319~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981261b8e30b4e3cbc3a0c4af85b3319~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입춘 立春
입춘(立春)은 일년 절기력(節氣曆)의 첫번째 절기로 봄(春)이 서는(立) 절기(節氣)입니다. 입춘(立春)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들며,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 태양이 황경 315°의 위치에 있을 때입니다.

선교신앙
2월 3일
![[절기법회] 선교(仙敎), 입춘 절기법회 선교문화로 대중교화](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928bff8c88e24a928b6486c9c47073ce~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928bff8c88e24a928b6486c9c47073ce~mv2.webp)
![[절기법회] 선교(仙敎), 입춘 절기법회 선교문화로 대중교화](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928bff8c88e24a928b6486c9c47073ce~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928bff8c88e24a928b6486c9c47073ce~mv2.webp)
[절기법회] 선교(仙敎), 입춘 절기법회 선교문화로 대중교화
민족종교 선교, 입춘(立春) 맞아 선교 문화 알리는 절기법회 개최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생활 속에서 선도(仙道)를 닦는 것이 천지인합일 정회(正回)의 길”

선교종단
2월 3일
![[절기학교] 24절기 대한 大寒](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395a3734896643a7a47ca053c6df9e46~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395a3734896643a7a47ca053c6df9e46~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대한 大寒](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395a3734896643a7a47ca053c6df9e46~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395a3734896643a7a47ca053c6df9e46~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대한 大寒
대한(大寒)은 소한(小寒)와 입춘(立春)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12월, 양력으로는 1월 20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 300°. 큰 추위가 오는 시기로 일년 24절 기 중 마지막 절기. 대한이 큰 추위를 뜻하지만 실상 소한 절기보다 추위가 누그러진다.

선교신앙
1월 19일
![[절기학교] 24절기 소한 小寒](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f9f44ef640114507bb10bef910984253~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f9f44ef640114507bb10bef910984253~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한 小寒](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f9f44ef640114507bb10bef910984253~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f9f44ef640114507bb10bef910984253~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한 小寒
소한(小寒)은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12월, 양력으로는 1월 6일 경으로 태양이 황경 285°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일년 중 가장 추운시기로 소한 삼후 즉 소한절기 15일간의 혹한은 산천초목을 얼어붙게 한다.

선교신앙
1월 4일
![[선교 동지제천] 동지 소향재 절기법회 / 선교창교 33주년 2024년 동지(冬至)](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acb36fda7024e01a50fd51d417db296~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7acb36fda7024e01a50fd51d417db296~mv2.webp)
![[선교 동지제천] 동지 소향재 절기법회 / 선교창교 33주년 2024년 동지(冬至)](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acb36fda7024e01a50fd51d417db296~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7acb36fda7024e01a50fd51d417db296~mv2.webp)
[선교 동지제천] 동지 소향재 절기법회 / 선교창교 33주년 2024년 동지(冬至)
한민족 고유종교 선교(仙敎), 2024년 갑진년 동지 ‘소향재’ 성료, 선교창교 33주년 “동지제천(冬至祭天)”으로 온 인류의 신성회복 기원.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 2025년 신년사 “대동개천, 한하늘 한민족 한자손의 한울세상”

선교종단
2024년 12월 21일
![[절기학교] 24절기 동지 冬至](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df83a2b63e74371aebfae9fd045fc14~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7df83a2b63e74371aebfae9fd045fc14~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동지 冬至](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df83a2b63e74371aebfae9fd045fc14~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7df83a2b63e74371aebfae9fd045fc14~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동지 冬至
동지(冬至), 겨울의 정점에 이르렀다는 의미,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으며,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사당과 당산에 올려 천신하거나 집안 곳곳에 놓아 악귀를 쫓는 벽사 풍습이 전한다

선교신앙
2024년 12월 20일
![[절기학교] 24절기 대설 大雪](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b1ae1bd05a8d4cc195112cf7e4862d30~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b1ae1bd05a8d4cc195112cf7e4862d30~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대설 大雪](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b1ae1bd05a8d4cc195112cf7e4862d30~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b1ae1bd05a8d4cc195112cf7e4862d30~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대설 大雪
소설(小雪)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10월, 양력으로 11월 22일경, 태양의 황경이 240°에 오는 때이며, 입동(立冬)절기 뒤 15일째 날로, 호박과 무를 썰어 말리는 등 입동(立冬)에 하지못한 겨울채비를 마저 한다.

선교신앙
2024년 12월 7일
![[절기학교] 24절기 소설 小雪](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1f05d8a603844d8cb030289e2c7131a9~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1f05d8a603844d8cb030289e2c7131a9~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설 小雪](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1f05d8a603844d8cb030289e2c7131a9~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1f05d8a603844d8cb030289e2c7131a9~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설 小雪
소설(小雪), 첫 눈이 내리고 얼음이 어는 초겨울,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 겨울 절기, 24절기 중 스무번째 절기, 선교 절기법회, 선교총림 절기명상, 선교 창교주 취정원사님 절기법문, 선도수행

선교신앙
2024년 11월 21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