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절기학교] 24절기 대서 大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17ad62eb0374fab8fcc848563bb9b6c~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717ad62eb0374fab8fcc848563bb9b6c~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대서 大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17ad62eb0374fab8fcc848563bb9b6c~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717ad62eb0374fab8fcc848563bb9b6c~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대서 大暑
대서(大暑)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22일경. 태양의 황경이 120°가 되는 때로 중복(中伏)의 시기이다. 삼복더위 중 초복은 소서와 대서 사이에 드는 경우가 많고 대서절(大暑節)은 중복(中伏)과 겹치게 된다

선교신앙
2024년 7월 21일
![[절기학교] 24절기 소서 小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서 小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서 小暑
소서는 24절기 중 열 한 번째 절기로, 하지과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7일이나 8일 경, 태양이 황경 105°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서(小暑)는 작은 더위라는 뜻인데, 소서 즈음에 초복이 들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선교신앙
2024년 7월 5일


[절기학교] 24절기 망종 芒種
망종(芒種)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사이에 드는 아홉번째 절기. 음력 4·5월, 양력 6월 6일경, 태양의 황경(黃經)이 75°에 달한 때입니다. 망종(芒種)이란 벼 · 보리 등 까끄라기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말하는데, 망종에는 보리는 베어서 종자를 갈무리하고, 벼 종자는 다 자라서 모내기하기에 적당한 시기를 말하는데, 옛말에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 “햇보리 먹는 망종”,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습니다.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고 보리밭을 갈무리해야 논에 물을 들여 모내기를 하고 밭갈이를 해서 다른 작물의 파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망종에 사마귀가 나오고, 때까치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는 울음을 멈춘다 하였습니다.

선교신앙
2024년 6월 6일


[절기학교] 24절기 소만 小滿
소만(小滿)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드는 여덟번째 절기. 음력 4월, 양력 5월 21일경, 태양의 황경이 60˚. 소만 무렵에는 여름의 정취가 느껴지며 모내기 준비에 바빠진다. 옛날에는 보릿고개로 유명한 시절로, 이른 모내기 · 가을보리 베기 · 김매기 등 바쁜 농사일이 연속된다.

선교신앙
2024년 5월 20일

bottom of page













_edited_jp.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