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절기학교] 24절기 처서 處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4df31b8e6b0478c8e3221eefc71d574~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74df31b8e6b0478c8e3221eefc71d574~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처서 處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4df31b8e6b0478c8e3221eefc71d574~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74df31b8e6b0478c8e3221eefc71d574~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처서 處暑
24절기, 열네번째 절기, 처서, 處暑, 더위는 멈추고 선선한 가을이 시작되는 초가을, 한낮의 햇볕은 아직 따가워서 처서의 햇볕은 벼이삭을 여물게하고 오곡의 풍성한 결실을 약속

선교신앙
2024년 8월 20일
![[절기학교] 24절기 입추 立秋](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48920782d336405a8f88a3918bd24008~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48920782d336405a8f88a3918bd24008~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입추 立秋](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48920782d336405a8f88a3918bd24008~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48920782d336405a8f88a3918bd24008~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입추 立秋
입추(立秋), 24절기, 열세번째 절기, 선교 가을교화, 황경 135도, 가을의 시작, 산골짜기에는 아침 저녁 선선한 바람

선교신앙
2024년 8월 6일
![[절기학교] 24절기 소서 小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서 小暑](https://static.wixstatic.com/media/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jpg/v1/fill/w_329,h_247,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665fae_780f4c4750c447cfb32744a2672e197d~mv2.webp)
[절기학교] 24절기 소서 小暑
소서는 24절기 중 열 한 번째 절기로, 하지과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7일이나 8일 경, 태양이 황경 105°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소서(小暑)는 작은 더위라는 뜻인데, 소서 즈음에 초복이 들어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선교신앙
2024년 7월 5일


[절기학교] 24절기 하지 夏至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열번째 절기로,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들며, 음력 5월 ·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여 태양의 황경(黃經)이 90°에 이르는 때로 양력 6월 21일~22일 경이다. 하지에는 북극에는 하루종일 해가 지지않고 남극에서는 수평선 위에 해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날은 태양의 복사에너지(輻射energy)가 지표면에 닿는 일사(日射) 시간과 일사량(日射量)이 가장 많은 날로, 밤이 가장 길었던 동지부터 낮의 길이가 조금씩 길어져 하지가 되면 낮이 가장 길어진다.

선교신앙
2024년 6월 21일


[절기학교] 24절기 망종 芒種
망종(芒種)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사이에 드는 아홉번째 절기. 음력 4·5월, 양력 6월 6일경, 태양의 황경(黃經)이 75°에 달한 때입니다. 망종(芒種)이란 벼 · 보리 등 까끄라기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말하는데, 망종에는 보리는 베어서 종자를 갈무리하고, 벼 종자는 다 자라서 모내기하기에 적당한 시기를 말하는데, 옛말에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 “햇보리 먹는 망종”,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습니다.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고 보리밭을 갈무리해야 논에 물을 들여 모내기를 하고 밭갈이를 해서 다른 작물의 파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망종에 사마귀가 나오고, 때까치가 울기 시작하며, 지빠귀는 울음을 멈춘다 하였습니다.

선교신앙
2024년 6월 6일

bottom of page













_edited_jp.jpg)